
2024년 올해 설날연휴는 4일로 연휴 중 하루는 대체공휴일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오늘은 설날과 대체공휴일에 대해서 그리고 설 연휴 가볼 만한 곳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설날 ◈ 설날의 유래 - 우리 민족 최대의 명절로 음력 1월 1일 뜻하는 말로 '한 해의 의 첫날'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 '설'의 어원 : '설'은 순수한 우리말로 그 어원에 대한 여러 가지 해석이 있습니다. - '낯설다'라는 말이 어근인 '설'에서 비롯된 '새해에 대한 낯설음', '아직 익숙하지 않은 날'이라는 뜻의 해석입니다. - '선날', 개시라는 뜻의 '선다'라는 말에서 비롯된 '새해 새날이 시작되는 날'이라는 뜻의 해석입니다. '선날'이 시간이 흐르면서 연음화 되어 '설날'로 와전되었다고 보고 있습니다. - ..

2023년부터 현금으로 지급되던 교육급여가 바우처 방식으로 지급된다고 합니다. 올해 2024년에는 교육급여가 약 11% 인상된다고 하니까 잊지 말고 교육급여 바우처 신청해 보시기 바랍니다. 오늘은 교육급여 바우처란 무엇인지, 지원내용, 신청방법, 사용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교육급여 바우처란? - 교육급여 바우처는 국민기초생활 보장법에 따라 지급되는 교육급여를 정책사업의 지원목적에 부합하는 지정된 사용처에서만 서비스 또는 물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전자적 지불수단(신용·체크카드 등) 기반의 이용권으로 지급하는 것입니다. ◈ 신청자격 - 교육급여는 가구의 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인 전국에 있는 저소득층 초·중·고등학생에게 교육활동지원금, 입학금, 수업료, 교과서 대금 등을 지원하..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사회적 취약계층의 문화비 부담을 덜기 위해 '문화누리카드' 지원사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올해는 문화누리카드 지원금이 1인당 연간 11만원에서 13만원으로 18% 인상됩니다. 지원금 인상 폭이 2017년 이후 가장 크다고 합니다. 오늘은 문화누리카드란 무엇인지, 카드발급, 사용기간, 사용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문화누리카드란? 인터넷 누리집을 통한 문화누리카드 발급은 아래 버튼에서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문화누리카드 신청하기 👆️ 문화누리카드는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을 대상으로 문화·예술·여행·체육활동을 지원하는 카드입니다.사회적 취약계층의 삶의 질 향상과 문화격차 완화를 목적으로 합니다. 기획재정부 복권위원회의 복권기금을 후원받아 추진하고 있는 공익사업입니다.문화체육관광부..

농업활동을 통한 공익기능 증진을 위해 농업인에게 보조금을 지원하는 공익직불제도를 아시나요? 올해부터는 소농직불금 지급단가가 가구당 120만원에서 130만원으로 인상되었다고 합니다. 오늘은 공익직불제란 무엇인지, 공익직불금을 받을 수 있는 지급요건은 무엇인지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공익직불제란? 공익직불제는 농업활동을 통해 식품안전, 환경보전 농촌유지 등 공익을 창출하도록 농업인에게 보조금을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 추진목적 - 쌀 중심의 농정 패러다임을 전환하고 작물 간의 형평성 제고 - 중·소규모 농가에 대한 소득안정기능 강화로 농가 간 형평성 제고 - 생태·환경 관련 의무를 강화하여 국민 눈높이에 맞는 농업으로 발전 2. 공익직불금 지급요건 - 농업농촌 공익직불법에 따라서 공익직불제는 기본형 공익..

2024년 올해부터 주거급여 선정기준이 되는 기준 중위소득이 47% 이하 가구에서 48% 이하 가구로 상향됩니다. 이로써 주거비 부담이 한층 완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아직까지 주거급여 신청을 하지 못하셨다면, 서둘러 주거급여 신청을 하셔서 더 많아진 주거급여 지원금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주거급여 신청방법 주거급여란? '주거급여법'과 '국민기초생활 보장법'에 근거하여 주거안정과 주거생활 향상을 위하여 저소득층의 실제 임차료, 수선유지비 등을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주거급여 신청은 방문하여 신청하는 방법과 온라인으로 신청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아래에서 주거급여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주거급여 신청하기 👆️ ▶ 방문 신청 -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방문하여 신청 ▶ 온라인 신청- 복지로(www.bo..